리눅스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중요한 이유는 리눅스의 오픈소스 특성과 경량화된 구조 덕분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리눅스를 주로 채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AWS, GCP, Azure 등)에서 제공하는 서버 인스턴스 중 대부분이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DevOps, 컨테이너 기반의 인프라에서 필수적입니다.
2. 파일 시스템과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inode”입니다.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고유한 inode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inode는 파일의 실제 데이터 위치를 추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에서 inode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파일 탐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쉘 스크립트와 크론탭
크론탭에서 스케줄링 작업을 자동화할 때, 특정 작업이 실패했을 경우 이를 다시 시도하거나, 실패 로그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MAILTO 변수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작업 실패 시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reboot 옵션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재부팅될 때 특정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보안 관리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 보안에서 faillog를 사용하여 로그인 실패 기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faillog 명령어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실패한 로그인 시도를 확인하고 이를 초기화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brute-force 공격을 방지하는 등의 보안 강화를 할 수 있습니다.
5. 리눅스의 네트워크 관리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관리는 netstat, ifconfig, ip 명령어를 통해 수행됩니다. 특히 ip 명령어는 최신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을 위해 tcpdump와 같은 패킷 캡처 도구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6. 패키지 관리
apt와 같은 패키지 관리 시스템 외에도 리눅스에서 중요한 패키지 관리는 snap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스냅 패키지는 컨테이너처럼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다른 시스템 파일과 충돌하지 않게 설계된 소프트웨어 배포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최신 패키지를 손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